건설공학과는
공학분야에서 가장 오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국가 인프라 시스템을 공급하기 위한 도로, 교량, 터널, 댐 등 사회기반 시설물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계획,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또한, 자연 재해방지 시설물, 자연으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는 인프라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건설공학은 SOC(사회간접자본 시설)의 근간을 이루는 학문으로서 민간 산업 뿐만 아니라 방호공학을 비롯한 미래 전장 환경 분야에서 군사적으로도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어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특히, 건설공학과는 이러한 현실과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군사 및 방호시설물의 해석 및 시공관리능력, 지반환경과 지형 공간정보의 이해 등 軍 건설분야와 관련한 전문지식을 교육함으로서 임관 후 실무 및 정책부서에서 전문가적 식견으로 공사업무수행, 계획 및 관리할 수 있는 학문적 토대와 능력을 제공한다.
측량공학 및 실습 과목에서 측량장비 실습을 통해 위치결정 실습 건축공학개론에서 교량 제작 후 하중재하를 통한 트러스 구조물 실습
교과 과정
《전공기초, 전공일반: 3학점, 전공심화:4학점, 창의연구: 1학점》
구분 |
3-1학기 |
3-2학기 |
4-1학기 |
4-2학기 |
|
---|---|---|---|---|---|
전공필수 (48학점) |
기초 |
건설공학개론(CE201) 건설기초수학(CE202) |
기초구조공학(CE203) 건설전산 설계(CE204) |
|
|
일반 |
건설계획 법규(CE301) 토질 기초공학(CE302) |
측량공학 및 실습(CE303) |
환경수리공학(CE304) 철근콘크리트공학(CE305) 건설설비(CE306) |
건설시공학(CE307) 건설재료 및 실험(CE308) |
|
심화 |
|
지반환경공학(CE401) |
지형정보공학(CE402) |
건설관리(CE403) |
|
선택적 창의융합 |
C프로그래밍(CS302) 환경공학개론(EV201) |
재료역학(ME302) 군사화학(EV204) |
인공지능개론(DS305) 유체역학(ME304) |
전자전(EE308) 전산구조역학(ME308) |
|
전공선택 (3학점) |
창의연구 |
|
창의연구(CE404) |
창의연구(CE404) |
창의연구(CE404) |
과목소개
과목코드 | 개설과목 | 주요 학습내용 |
---|---|---|
CE201 |
건설공학개론 |
건설공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과목으로, 구조공학, 지반공학, 측량학, 수공학 등의 주요 분야를 학습한다. 건설공학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건설공학의 개론에 대한 이해를 유도한다. |
CE202 |
건설기초수학 |
건설공학 전공과목 학습에 필요한 기초적인 수학을 다루는 과목으로, 수학의 기초가 약한 학생들도 건설공학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삼각함수, 벡터, 미분과 적분까지 건설공학과 관련한 전공의 기초 수학적 내용을 학습한다. |
CE203 |
기초구조공학 |
건설된 구조물이나 부재들에 대한 외부의 하중 또는 외력에 의해 재료가 견딜 수 있는 범위의 응력(stress), 변형률(strain) 및 변위(displacement)에 대한 자료를 해석함으로서 안전하고 경제적인 구조물 설계에 대해 판단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CE204 |
건설전산 및 설계 |
건설공학의 설계, 시공, 인테리어 등 시각화 가능한 내용을 도면화 또는 3D 모델링 가능한 소프트웨어 운용을 통해 쾌적하고 아름다운 공간창조의 바탕이 되는 도면 작성 및 모델링을 학습한다. |
CE301 |
건설계획 및 법규 |
건설 계획 및 법규는 건설 사업에 대한 과정과 기초적인 용어를 이해하고, 시설별 기능적인 부분과 이를 통해 건축 설계로 이어지는데 필요한 건축 요소들을 학습한다. |
CE302 |
토질 및 기초공학 |
토질의 구성요소 및 거동에 대한 역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토압의 기본 개념과 토질의 다짐 및 전단강도의 특성을 도출하고, 군 시설물에 대한 토질 및 기초 분야 적용을 이해한다. |
CE303 |
측량공학 및 실습 |
지구표면, 그것의 위 또는 아래에 있는 모든 점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거리, 각, 방향 등을 측정하여 결정한다. 결정된 위치들을 현장에 설치(측설)하는 방법과 최첨단 디지털 측량 도구 및 기술을 사용하여 위치를 정밀하게 결정하고 판단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
CE304 |
환경수리공학 |
물의 거동과 관련하여 수리학의 기초이론과 응용학습을 통해 유체의 기본 성질 및 특성, 정수역학 및 동수역학의 적용, 관수로 및 개수로에서의 환경수리학적인 문제들을 해결한다. |
CE305 |
철근콘크리트 공학 |
토목, 건축 구조물 등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보편적인 건설 재료인 철근콘크리트에 기본적 성질 이해 뿐만 아니라, 구조거동의 설계이론 이해 및 해석과 설계를 다룬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및 압축강도 실험을 통해 콘크리트 거동에 대한 직관적 이해와 응용능력을 기른다. |
CE306 |
건설설비 |
건설 설비의 목적은 생활을 보다 쾌적하고 안전하게 지원하는 것으로 위생적인 급배수시설과 소화 및 방재시설, 전기 및 수송시설 등의 원리를 이해하고, 현장에서 시공 및 유지관리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CE307 |
건설시공학 |
건축물을 구체적으로 생산하는 기술을 배우는 과목으로, 원가·공정·품질·안전·환경관리를 통해 기능·구조·미의 3요소를 갖춘 건축물을 최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 |
CE308 |
건설재료 및 실험 |
시멘트 골재, 물, 혼화재료, 조적, 목재 등 다양한 건설재료에 대한 일반적인 성질 뿐만 아니라, KS 규정 및 시방서 등 각종 규정에 맞는 실험방법을 통해 적정 품질의 재료를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 |
CE401 |
지반환경공학 |
지반환경에서 건설구조물을 축조하거나 지지하기 위한 역학적 분야와 지반환경에서 지하수 및 오염물의 흐름 등 환경적인 측면을 포함해서 지반환경에서의 종합적 거동을 학습한다. |
CE402 |
지형정보공학 |
공간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지리정보를 수집, 구축, 유지, 관리, 편집하고 분석과 모델링을 통해 추출된 고부가가치의 정보를 표현하고 출력할 수 있게 고안된 종합적인 정보처리시스템을 이해한다. |
CE403 |
건설관리 |
부지선정, 병영기본계획, 공사 집행준비와 관련이 있는 건설관리 계획 및 준비로부터 공사착공, 건설적산, 공사감독, 국방군사 시설기준까지 주요 공사실무내용을 학습한다. |
CE404 |
창의연구 |
창의연구는 전공 분야 중 특정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연구방법을 지도교수와 함께 토의하여 창의적 연구를 진행한 후 논문을 작성하여 발표한다. |
※교과과정 개편에 따라 일부 과목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장차 군 리더로서의 역할
- 야전 임무수행 시 건설공학분야 전문가로서 군 공사계획 및 관리능력을 발휘하고, 군 정책부서 및 연구기관에서 토목·건축 및 시설 방호공학과 관련한 군사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 함양(석·박사 위탁교육 기회)
- 향후 건설공학과 관련한 자격증(기사, 기술사 등) 취득이 가능하고 공병 병과 선택 시 군 시설관련 업무경력이 100% 인정되며, 시공, 설계 및 감리업무를 수행하는 건설분야의 고급 기술인력으로 성장 가능
- 건설공학 전공 시 보병, 포병, 기갑, 방공, 인사 등의 병과는 물론 전공 유사성을 고려 공병 병과에 1순위 지원 가능
학과 연락처
- 학과장 : 허지용 교수
- 연구실 : 054-330-4755
교수진 소개
사진 | 성명 | 직위 | 최종학력 | 전공 | 연구분야 | 교육과목 |
---|---|---|---|---|---|---|
|
허지용 |
공학처장 |
공학박사 (Univ. of South Carolina) |
토목 환경공학 |
지반환경공학 토질 및 기초 수처리 및 에너지 |
토질및기초공학 환경수리공학 기초구조공학 지반환경공학 군사지형과기상 방호공학 |
|
김나람 |
학과장 |
석사 (연세대) |
도시계획 |
도시공학 건축계획 건축시공 건설관리 |
건설계획및법규 건설시공학 건설설비 군시설관리 방호공학 |
|
이희범 |
교수 |
박사 (Univ. of Wisconsin) |
영상 정보학 |
광학 및 레이다 영상 정보 공간정보분석 |
측량공학및실습 지형정보공학 건설기초수학 군사지형과기상 |
|
이찬우 |
조교수 |
석사 (KAIST) |
구조제어 |
구조제어 내진설계 |
건설공학개론 건설전산및설계 철근콘크리트공학 건설재료및실험 군시설관리 방호공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