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과학과는
컴퓨터에 관한 이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중점을 둔 4차 산업혁명의 중심이 되는 핵심 학문이다. 컴퓨터란 정보를 수집, 가공, 저장, 전달하는 연속적인 과정을 수행하는 도구이며 현대 사회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컴퓨터과학과에서는 컴퓨터 아키텍처, 자료구조,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공학을 통해 기초학문을 다지고 C, JAVA, Python, 모바일 프로그래밍 등을 통하여 실무적인 기술을 익힌 후 임베디드 시스템, 인공지능, IoT 등의 응용학습을 통해 컴퓨터과학 기술 전문가가 되기 위한 능력을 갖춘다. 특히 최신식 사이버 실습실(KISTA : KAAY Information Security Training Area)을 통해 정보보안개론,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보안, 모의 사이버전, 사이버 공격/방어, 해킹 시뮬레이터 등 정보보호 분야의 심화 교육을 통해 새로운 전쟁 양상인 사이버전(Cyber Warfare)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갖추어, 장차 국가 방위에 기여할 정예 장교를 양성하는 학과이다. 컴퓨터과학과 생도들은 임관 후 정보통신 기술분야, 첨단 무기체계와 컴퓨터 기술의 융합 분야, 군의 정보화 정책, 군의 소프트웨어를 담당하는 부서 등 정보화 분야와 사이버 특기로 전환할 경우 사이버 정책, 사이버 방호 업무와 같이 사이버의 핵심 분야에 진출하여 군 발전에 이바지하게 된다.
교과 과정
《전공기초, 전공일반: 3학점, 전공심화:4학점, 창의연구: 1학점》
구분 |
3-1학기 |
3-2학기 |
4-1학기 |
4-2학기 |
|
---|---|---|---|---|---|
전공필수 (48학점) |
기초 |
컴퓨터구조(CS201) 운영체제(CS202) |
정보보안개론(CS203) |
소프트웨어공학(CS204) |
|
일반 |
컴퓨터네트워크(CS301) |
데이터베이스(CS303) |
시스템보안(CS305) |
임베디드시스템(CS308)> |
|
심화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CS401) |
모의 사이버전(CS402) |
|||
선택적 창의융합 |
선형대수학(DS201) 통계학입문(DS202) |
공학프로그래밍(DS401) 통신시스템(EE401) |
데이터마이닝(DS307) 네트워크공학(EE305) |
머신러닝(DS309) 국방M&S(DS403) |
|
전공선택 (3학점) |
창의연구 |
|
창의연구(CS404) |
창의연구(CS404) |
창의연구(CS404) |
과목소개
과목코드 | 개설과목 | 주요 학습내용 |
---|---|---|
CS201 | 컴퓨터 구조 | 컴퓨터 구성과 설계, 데이터 표시방법, 레지스터 전송과 마이크로 동작, 소프트웨어를 위한 연산장치, 제어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병렬처리구조 등의 컴퓨터 HW 전체 구조 및 기능 학습. |
CS202 | 운영체제 | 운영체제 기본개념과 구조, 파일 시스템, 사용자 관리, HW 관리 등 학습. |
CS203 | 정보보안개론 | 정보화 시대에서 요구하는 정보보호의 기본개념 이해. 암호 기초이론과 시스템 및 네트워크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와 해결 방법 학습. |
CS204 | 소프트웨어공학 |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전 과정과 각 단계에서 사용되는 제반 기술 소개 및 이용자 환경의 설계, 소프트웨어 재사용, CASE, 객체지향 분석 방법 및 설계 능력 배양. |
CS301 | 컴퓨터네트워크 | 네트워크의 기본개념을 이해하여 네트워크 모델을 배우고, OSI 7계층을 기본으로 각 계층의 프로토콜과 원리를 이해하여 패킷 시뮬레이터를 통해 실제 감각을 경험하고 구성하는 방법 배양. |
CS302 | 컴퓨터 프로그래밍Ⅰ | C언어 구조 및 문법을 습득하여 프로그램 개발 기초능력을 배양, 팀 프로젝트를 통한 고차원의 프로그램 개발 능력 배양./td> |
CS303 | 데이터베이서 | 데이터베이스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웹과 연동한 자료 입/출력, 검색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능력 배양. |
CS304 | 컴퓨터 프로그래밍Ⅱ | Python 언어 구조 및 문법을 습득하고, 인공지능개론, AI융합캡스톤디자인 과목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기초능력을 배양. |
CS305 | 시스템보안 | 컴퓨터 시스템의 정보보호 수단에 대한 학습, CPU와 메모리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 운영체제 유형별 보안 취약점과 그에 대한 공격 기법 이해. 대응방법 숙달. |
CS306 | 네트워크 보안 | 네트워크의 기초이론을 토대로, 네트워크 해킹에 대한 공격 및 방어 기법을 이해하고 실습하여, 각종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의 유형별 기능과 특징을 이해하고 학습 |
CS307 | 인공지능개론 | 규칙기반 전문가 시스템의 규칙·형식·구조, 인공 신경망과 기계 학습 등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 인공지능 활용 분야에 대한 이해와 분석 및 응용능력 배양. |
CS308 | 임베디드 시스템 | 임베디드 시스템의 정의와 기본적인 시스템 이해를 위한 기초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론 지식 함양. 임베디드 프로그래밍을 통한 시스템 개발 실습. |
CS401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선형, 비선형 및 특수한 형태의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기본개념 이해. 자료검색 및 분류 작업 시 효율을 높이는 방법과 시스템 프로그래밍 및 데이터베이스를 공부하기 위한 기초능력 배양. |
CS402 | 모의 사이버전 | 모의 해킹 이론 및 가상 환경에서의 모의 해킹 기법 학습. 가상 환경에서 내부 시스템에 대한 보호방법 학습. |
CS403 | AI융합캡스톤디자인 | 인공지능 전공지식과 딥러닝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신경망 모델을 구현하고, 자율주행시스템의 자율성 확보 문제를 인공지능과 결합하여 실제 환경에서 주행 테스트까지 진행하는 실습 프로젝트 과목. |
CS404 | 창의연구 | 창의연구는 전공 분야 중 특정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연구방법을 지도교수와 함께 토의하여 창의적 연구를 진행한 후 논문을 작성하여 발표한다. |
※교과과정 개편에 따라 일부 과목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장차 군 리더로서의 역할
- 졸업 후 컴퓨터과학에 대한 기본소양을 바탕으로, 정보통신 장교로 임관하여 각급 부대 전산실 실무자 및 정보통신 사이버 정책담당 부서로 진출하여 전문가로서 지휘통제체계 및 통신체계 구축 및 운용, 정책 구상 등 임무 수행
- 현대 사회의 중심이 되는 학문을 연구함으로서, 전공 지식을 바탕으로 국방과학, 방위산업, 빅데이터, 인공지능, 머신러닝, 사이버보안, 정보보안 업체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 가능
- 컴퓨터과학과 관련있는 병과로는 정보통신·보병·포병·기갑·방공·인사행정 등이 있으며, 수송·병기·병참·화학 병과 등과도 연관되고, 병과 선택 후 사이버 특기로 전환 가능
학과 연락처
- 학과장 : 고승범 교수
- 연구실 : 054-330-4813
교수진 소개
성명 | 직위 | 최종학력 | 전공 | 연구분야 | 교육과목 |
---|---|---|---|---|---|
중 령 김동진 |
조교수 |
공학박사 |
컴퓨터공학 |
무선 N/W |
소프트웨어 공학 |
대령 김호길 |
교수 |
공학박사 |
컴퓨터공학 |
무선 센서N/W |
|
중령 윤재필 |
조교수 |
공학박사 |
컴퓨터공학 |
사이버전 |
시스템보안 |
대 위 고승범 |
강사 |
석사 |
컴퓨터공학 |
네트워크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대 위 오자훈 |
조교수 |
공학박사 |
컴퓨터공학 |
클라우드 |
인공지능개론 |
대 위 이은애 |
강사 |
공학석사 |
컴퓨터공학 |
최적화 |
인공지능개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