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외교학과
급변하는 정치외교환경에서의 평화정착이라는 시대적 소명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내·외의 안보상황과 다양한 위협에 대한 올바른 평가와 적절한 대응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예컨대, 냉전 종식 이후 21세기에 우리는 군사적 위협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국제범죄, 테러리즘 등 비군사적 위협에 직면해 있는데 이러한 문제들은 단일 국가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이므로 국가 간 협력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간의 갈등과 협력의 매커니즘을 이해한 가운데서 안보에 대한 시각을 넓히는데 기여하며, 미래 안보 전문가로서 인접 국가들과 협력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 및 시각들을 함양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기존의 전공지식이 없더라도 쉽게 접근하고 학습할 수 있는 학문으로써, 국내·외 정치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접근법, 정치사, 국가 간 관계, 안보동맹 등)를 다루며, 국가안보와 관련된 분야를 교육한다.
생도 주도의 발표 토의 수업 통일문제연구 강의식 수업
교과 과정
《전공기초, 전공일반: 3학점, 전공심화:4학점, 창의연구: 1학점》
구분 |
3-1학기 |
3-2학기 |
4-1학기 |
4-2학기 |
|
---|---|---|---|---|---|
전공필수 (48학점) |
기초 |
정치학원론(PD201) 정치이념론(PD202) 국제관계론(PD203) 국제정치사Ⅰ(PD204) |
|
|
|
일반 |
|
국제정치사Ⅱ(PD301) 외교정책론(PD302) 국제정치이론(PD303) |
국제기구론(PD304) 국제분쟁론(PD305) 국제안보협력론(PD306) |
비교정치론(PD307) 동북아안보론(PD308)
|
|
심화 |
|
정치커뮤니케이션(PD401) |
국방정책론(PD402) |
통일문제연구(PD403) |
|
선택적 창의융합 |
서양사의 이해(MH203) |
동양사의 이해(MH204) |
한국 근현대사(MH205) |
|
|
전공선택 (3학점) |
창의연구 |
|
창의연구(PD404) |
창의연구(PD404) |
창의연구(PD404) |
※ 선택적 창의융합 과목 수강시 타 전공학과에 개설된 과목을 전공 학점으로 인정 가능
과목소개
과목코드 | 개설과목 | 주요 학습내용 |
---|---|---|
PD201 |
정치학원론 |
정치학의 주요 개념 및 이론에 대해 연구하는 과목으로, 정치체제·과정·제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국내·외 정치현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한 과목이다. |
PD202 |
정치이념론 |
이데올로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유민주주의로부터 전체주의에 이르기까지 정치이념에 대한 이해와 체제원리를 이론과 현실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20세기 이데올로기 실험의 성과와 한계를 밝힌다. |
PD203 |
국제관계론 |
다양한 접근방식(현실주의, 자유주의, 비판적 관점 등)으로 국가 상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파악하며, 세계가 어떻게 작동되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
PD204 |
국제정치사Ⅰ |
국제정치를 중심으로 역사의 진행 과정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본 과목은 그리스 문명 및 로마 문명으로부터 유럽 협조체제가 시작하기 이전까지의 시대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
PD301 |
국제정치사Ⅱ |
국제정치를 중심으로 역사의 진행 과정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빈 회의 및 유럽협조체제로부터 국제연합이 탄생하기까지 국제정치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
PD302 |
외교정책론 |
외교정책의 다양한 기초이론을 분석 및 구분해 보는 과목으로, 외교정책의 학문적 의의와 정의를 탐색하고, 외교정책의 여러 영역인 군사안보외교, 통상외교, 국제기구외교 등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기초소양을 구비하기 위한 과목이다. |
PD303 |
국제정치이론 |
국제 정치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 기초가 되는 국제관계 이론들(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 대안이론 등)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국제관계 이론을 토대로 다양한 쟁점과 사례들을 연구한다. |
PD304 |
국제기구론 |
글로벌 거버넌스 또는 지역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현 국제기구들의 기원, 특징 및 한계 등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다양한 국제기구들(국제연합, 유럽연합, ASEAN, SCO 등)의 역할과 효용성을 학습한다. |
PD305 |
국제분쟁론 |
국제분쟁과 협력에 관한 국제정치학의 기초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20세기 대전쟁의 원인을 분석하며, 탈냉전기 지역분쟁 사례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
PD306 |
국제안보협력론 |
21세기 군사적 위협뿐 아니라 환경오염, 국제범죄, 테러리즘 등 비군사적 위협에 직면해 있는데 이러한 문제에 있어 국가 간 협력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상호의존적 국제질서에서 갈등을 통한 안보가 아니라 협력을 통한 안보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
PD307 |
비교정치론 |
비교정치학의 기초이론 및 방법론을 소개하고, 미국·중국·일본 등 주변국들의 정치체계와 정부 구조, 정치문화, 정치발전 및 현실정치 등을 비교·연구함으로써, 한반도를 둘러싼 정치 상황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
PD308 |
동북아안보론 |
21세기는 ‘아시아의 세기’라고 널리 선언되고 있다. 동아시아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와 같은 세계 강대국들 대부분이 관련되어 있으며, 더불어 한반도를 포함하여 국가들의 위상과 능력을 주요 이론을 통해 분석하고, 국가간의 안보현안에 대한 전망을 할 수 있다. |
PD401 |
정치커뮤니케이션 |
정치란, 권력을 추구하고 획득하는 행위이다. 그 행동의 일환으로 커뮤티케이션은 절대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논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한 의사소통능력은 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이 되기도 하고, 평화로운 사회를 굳건히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
PD402 |
국방정책론 |
국가안보전략의 개념과 관련 용어를 이해하고, 국방정책 과정의 제반사항을 연구하는 과목으로, 국가이익과 국가전략의 체계 및 부문별 상호관계를 이해하며, 국방정책의 특징과 대한민국의 국방정책 결정과정의 역사를 고찰해봄으로써, 기초소양을 구비하는 과목이다. |
PD403 |
통일문제연구 |
분단의 장기화로 통일에 대한 필요성은 국민의 관심사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 에서 통일의 의미와 필요성을 파악하고, 갈등과 협력의 남북관계를 이해함으로써, 통일 과정과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해결 가능한 문제점 및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과목이다. |
※교과과정 개편에 따라 일부 과목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장차 군 리더로서의 역할
- 안보 및 외교전문가로서 필수적인 소양을 구비하여 외교안보 및 국제협력 분야에서 근무할 수 있으며, 대학원 진학 시 외교·안보분야 진출이 가능
- 기본병과인 보병·포병·기갑·방공·행정 병과 지원이 가능하며, 전공특성을 살린 병과로는 공보·정훈정보 병과로 지원 가능.
학과 연락처
- 학과장 : 문장권 교수
- 연구실 : 054-330-4635
교수진 소개
사진 | 성명 | 직위 | 최종학력 | 전공 | 연구분야 | 교육과목 |
---|---|---|---|---|---|---|
|
문장권 |
학과장 |
박사 (경남대) |
국제관계 |
국제정치 안보정책 |
국가안보론 정치학원론 외교정책론 국방정책론 |
|
황수현 |
조교수 |
박사 (경남대) |
국제관계 |
국제정치 안보정책 |
국가안보론 동북아안보론 전쟁사 |
|
윤희철 |
조교수 |
박사 (미,앨러배마 주립대) |
국제관계 |
국제정치 비교정치 |
국가안보론 국제분쟁과 협력 비교정치론 정치이념론 정치학원론 |
|
김상준 |
강사 |
석사 (인도, 크라이스트대) |
국제관계 |
국제정치 안보정책 |
국가안보론 국제정치사 안보협력론 국제정치이론 국제기구론 국제관계론 |
|
김진만 |
교수 |
박사 (경북대) |
윤리학 |
도덕 철학 및 교육론, 군인의 가치관과 덕목 |
군대와 윤리 현대 정치이념론 등 |
|
강민지 |
강사 |
석사 (경남대) |
안보정책학 |
안보정책 통일 |
통일학입문 통일문제 연구 등 |
|
최재호 |
부교수 |
박사 (경북대) |
국어국문 (고전) |
고전문학 비평, 임진왜란 문학 |
화법과 작문, 교육관리론, 정치커뮤니케이션 |
|
김창준 |
강사 |
석사 (서강대)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 |
국제정치사 Ⅰ 국제정치이론 국가안보론 |
|
김현식 |
강사 |
석사 (국방대) |
북한학 |
북한의 체제 생존 영향요인 |
국제정치사Ⅰ 북한정치론 군대와 윤리 |